정규강좌
구분 | 순서 | 교과목 | 담당법사(교수) |
정규 강좌 |
1 | 불교란 무엇인가? | 문무왕 (동국대학교) |
2 | 초기불교의 이해 | 김재성 (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) | |
3 | 대승불교와 반야사상 | 정병조 (금강대학교) | |
4 | 불교역사의 개설 | 김재성 (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) | |
5 | 불교의 심리학 | 김성철 (금강대학교) | |
6 | 선불교와 선사상 | 성본스님 (동국대학교) | |
7 | 한국불교의 이해 | 석길암 (금강대학교) | |
8 | 포교의 이해와 실천 | 김응철 (중앙승가대학교) | |
9 | 불교의식의 이해(실수) | 인묵스님 (불교어산작법학교) | |
10 | 법사의 길 | 김응철 (중앙승가대학교) |
특별강좌
구분 | 순서 | 교과목 | 담당법사(교수) |
특별 강좌 |
1 | 부처님의 광명 | 종범스님 (삼보회 상임지도법사) |
2 | 불교의 본질과 신행 | 강건기 (전남대학교) | |
3 | 불교의 체계적 이해 | 권기종 (동국대 명예교수) | |
4 | 석가모니불과 삼세신앙 | 종범스님 (중앙승가대 명예교수) | |
5 | 초기불교로 본 삶의 길 | 김재영 (청보리회 지도법사) | |
6 | 대승불교의 사상 | 권기종 (동국대 명예교수) | |
7 | 깨달음이란 무엇인가? | 최봉수 (동국대 교수) | |
8 | 반야심경 해설 | 정병조 (금강대학교 총장) | |
9 | 현대인과 선(禪)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10 | 위빠사나와 간화선의 이해 | 김재성 (서울불교대 교수) | |
11 | 원력의 집념을 가지자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12 | 대승불교의 근본적 의미 | 송찬우 (중앙승가대 교수) | |
13 | 한국불교의 부처님 신앙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14 | 한국불교의 현실과 포교방향 | 김응철 (중앙승가대 교수) | |
15 | 천수경 및 예불문 해설 | 동봉스님 | |
16 | 반야심경 해설 | 송찬우 (중앙승가대 교수) | |
17 | 비교종교학 | 최종석 (금강대학교 교수) | |
18 | 진심직설 | 정병조 (금강대학교 총장) | |
19 | 화엄일승법계도 | 정병조 (본 대학 학장) | |
20 | 정토교 게론 | 보광스님(동국대학교 교수) | |
21 | 보살행의 길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22 | 신심과 자성삼보 | 김재성 (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) | |
23 | 현대사회 속의 불교의 방향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24 | 선문촬요(혈맥론) | 김재성 (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) | |
25 | 원각경 강설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26 | 육조단경 강설 | 송찬우 (중앙승가대 교수) | |
27 | 유마경 강설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28 | 승만경 강설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 |
29 | 화엄경(십지품) 강설 | 종범스님 (삼보불교대학 학장) |